본문 바로가기

모카의 경제공부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뭐가 다른 걸까?

반응형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뭐가 다른 걸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자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잘 나가는 종목이 있으면 곧 유상증자가 나올거다, 무상증자가 나올거다 하는 소문이 나기 시작 하는데요. 그런데 대체 증자란 뭐고 유상증자, 무상증자 뭐가 다른건지 헷갈리죠.

그래서 오늘은 증자가 뭔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은 뭔지 한 번 알아볼게요. 

증자란 주식회사에서는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주주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발행하는데 이것을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반대로 회사가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아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무상증자’라고 하는데요.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기업에게는 이익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호재인지 악재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증자는 왜 하는 건가요?



기업이 운영되려면 많은 양의 현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데요. 이렇게 되면 이자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부 금액을 자기자본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신주를 발행하거나 기존 주주의 지분율만큼 배정해서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유증은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을 사는 사람이 있어야지만 진행될 수 있지만 무증은 아무나 다 받을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삼성전자 주식을 5만원에 500주를 샀다고 가정하면 저는 주당 5만원씩 2500만원을 투자한셈이지만 현재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485조이기 때문에 시총대비 0.01%밖에 되지 않는거죠. 이렇게 적은 금액으로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규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로 호재로 작용하지만 무조건 좋은건 아니랍니다.

 

무증과 관련해서 주의해야할 점은 없나요?


가장 조심해야할 부분은 권리락 입니다. 권리락이란 말 그대로 권리가 떨어져 나간다는 뜻으로 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신주인수권증서를 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않으면 자신이 가진 주식만큼 현금배당을 받을 수 없게되죠. 그렇기 때문에 해당 종목의 권리락 날짜를 반드시 체크하셔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권리락 이후엔 어떻게 되나요?


권리락 당일에는 전일 종가 대비 일정비율 떨어진 가격으로 거래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다음날부터는 정상가격으로 돌아오게 되구요. 다만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폭이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증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에 대해서 공부해도 사실 운이 따라 주지 않으면 마음 같이 잘 안 되는 것 같더라고요. 하지만 운에만 맡기기에는 너~무 리스크가 크죠. 매일 매일 투자에 성공할 순 없지만, 꾸준한 공부와 건전한 투자패턴을 통해 모두들 성투하시길 기원할게요^^

반응형